티스토리 뷰
목차
한국토지주택공사(LH)가 4월 7일부터 9일까지 사흘간 전국 3003호 규모의 청년 및 신혼·신생아 매입임대주택에 대한 청약 접수를 시작합니다. 청년 1666호, 신혼·신생아 가구 1337호로 구성되어 있으며, 도심 내 교통이 편리한 지역의 주택을 사들여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임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.
사실 무슨 말이 더 필요하겠어요? 일단 공고문을 보고 신청하시는게 더 좋을 수도 있겠습니다. 간략한 내용이 궁금한 분들만 아래를 더 읽어 보세요.
매입임대주택이란?
매입임대주택은 LH가 교통, 생활 인프라가 좋은 도심 내 신축 또는 기존 주택을 매입하여,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, 서민층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임대하는 주거지원 제도입니다. 전세 사기 걱정 없이 안정적인 거주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인기가 높습니다.
지난해에는 청년 매입임대주택 경쟁률이 평균 53:1, 신혼·신생아 유형은 6:1을 기록하며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.
공급 호수 및 지역별 분포
총 공급 호수: 3,003호
- 청년 매입임대주택: 1,666호
- 신혼·신생아 매입임대주택: 1,337호
수도권 공급: 총 1,421호
- 서울 281호
- 경기 882호
- 인천 258호
청년 매입임대주택 – 19~39세 청년 대상
대상: 대학생, 취업준비생 포함
지역별 분포: 수도권 767호 / 비수도권 899호 (부산 116호 포함)
임대료: 인근 시세의 40~50% 수준
거주기간: 최장 10년 (입주 후 혼인 시 20년 연장 가능)
특징: 냉장고, 세탁기, 에어컨 등 빌트인 가전 완비
신혼·신생아 매입임대주택 – 결혼 7년 이내 및 신생아 가구 대상
대상: 예비신혼부부 포함, 최근 2년 이내 출산 또는 입양 가구
지역별 분포: 수도권 654호 / 비수도권 683호 (부산 171호 포함)
① 신혼·신생아Ⅰ 유형
주택 형태: 다가구, 다세대 주택
임대료: 시세의 30~40%
거주기간: 최장 20년
② 신혼·신생아Ⅱ 유형
주택 형태: 아파트, 오피스텔
임대조건: 보증금 80%, 월세 20%의 준전세형
임대료: 시세의 70~80% 수준
거주기간: 최장 10년 (자녀 있을 경우 14년까지)
신청 일정 및 발표
신청 기간: 2025년 4월 7일(월) ~ 4월 9일(수)
서류심사 안내: 4월 중
예비입주자 발표: 2025년 6월 예정
보다 자세한 신청 조건, 소득 기준, 자산 기준 등은 LH청약플러스 홈페이지에서 공고문을 꼭 확인하세요!